2023년 개별공시지가 조회(표준지공시가격 차이점 일정)

반응형

종합부동산세나 재산세 건물분,토지분 등은 개별공시지가와 공동주택 가격이 기준이 되어 세금이 계산됩니다. 개별공시지가는 매년 변동이 되는데요. 2023년 개별공시지가 조회(표준지공시가격 차이점)에 대해 아래에서 자세히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2023년 개별공시지가 조회(아파트,표준지공시가격과 차이점?)바로가기

 

2023년 개별공시지가 조회(표준지공시가격 차이점 일정)

 

개별공시지가

 

 

 

 개별공시지가란, 국토부와 각 지역 자치단체에서 관련 부사가 조사하여 발표하는 토지별 각을 말합니다.
지가는 말 그대로 토지의 가격을 말하며, 이와 비슷하게 아파트 등 개별공동주택가격도 별도로 조사해 발표하기도합니다.

2023년 개별공시지가 조회(표준지공시가격 차이점 일정)

이렇게 매년 개별 공시지가를 결정하여 복지제도 선정기준이나 세금 계산기준 등이 되어서 만약 토지나 아파트등을 보유하고 있으시다면 매년 발표되는 개별공시지가를 확인하는게 좋습니다.

 

2023년 표준지 공시지가 조회(표준주택, 개별 공시가격 차이점은?)

 

개별공시지가와 표준지공시지가 차이점

 가끔 표준공시지가가 발표되었다하고 몇달 뒤 개별공시지가가 결정되었다 라는 뉴스를 종종보게 되면, 개별공시지가와 표준지 공시지가 차이가 점이 무엇인지 궁금해 집니다.

2023년 개별공시지가 조회(표준지공시가격 차이점 일정)

표준지 공시지가는 국토교통부에서 전국의 토지 중 대표적이거나 일정 토지를 선정하여 발표한 지가를 말합니다.

개별공시지가는 이런 표준지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지자체에서 그 주변 토지가격 전체를 산정하고 발표합니다.

즉 표준지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하여 개별공시지가 결정 기준 중 하나 이기도 합니다.

 

재산세 계산기(아파트 공시지가 확인하기)

 

2023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일정

 

 

2023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일정은 2023년 3월 말부터 임시 조회가 가능해 집니다. 공개 이후 만약 토지 가격에 이의가 있다면 일정 조회 기간을 거친후 2023년 4월 말부터 공식 확정되어 조회가 가능합니다.

2023년 개별공시지가 조회(표준지공시가격 차이점)

2023년 개별공시지가 열람은 3월 21일부터 20일간 조회를 통해 의견제출을 할 수 있습니다.

이후 4월 28일부터 지가가 결정되어 공시될 예정입니다.

 

상속세 면제 한도 알아봅시다.

2023년 개별공시지가 조회(표준지공시가격 차이점)

만일 토지가 1월 1일 기준이 아닌  7월 1일 기준으로 산정되는 토지라면 2023년 9월 4일부터 25일까지 조회 할수 있습니다.

이의 신청 접수를 진행 한후 2023년 10월 31일이 확정 됩니다.

 

시골 빈집 매매 구하기 (무상임대,무료 월세,가격 싼곳 찾기 빈집정보센터)

 

개별공시지가 조회방법

개별공시지가 조회 방법 국토교통부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 홈페이지(www.realtyprice.kr)에서 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

개별공시지가 조회방법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에서 토지-개별공시지가 메뉴로 이동합니다.

개별공시지가는 지자체에서 고시하는 가격이므로 각 지역으로 클릭해 이동합니다.

서울,부산,대구,인천,대전,광주,세종,울산,경기도,강원도,충청북도,충청남도,전라북도,전라남도,경상북도,경상남도,제주 등 해당되는 지역으로 이동합니다.

 

종합부동산세(종부세) 계산기 바로가기

개별공시지가 조회방법

해당 지역에서 개별공시지가 열람에서 지번이나 도로명주소를 입력합니다.

해당 주소를 입력하면 각 년도별 개별공시지가를 조회 할 수 있습니다.

 

양도소득세 확정신고 방법,가산세 대상,신고기간(양도세),납부기한 총정리

 

개별공시지가 활용

개별공시지가는 아래 제도의 산정에 기준이 됩니다.

  • 양도소득세 ,증여세,상속세,종합부동산세
  • 재산세,취득세,등록면허세
  • 개발부담금,개발제한구역보전부담금,개발제한구역내 토지매수,국유 공유재산 사용료

 

 

이상으로 2023년 개별공시지가 조회(표준지공시가격 차이점)에 관해 확인해 보았습니다.

2023년 국민연금 하한액,상한액 인상(기준소득월액 기준)

 

2023년 국민연금 하한액,상한액 인상(기준소득월액 기준)

국민연금은 아무리 많이 벌어도, 적게 벌어도 납부 할 수 있는 하한액과 상한액이 정해져있습니다. 이 기준은 매년 7월마다 변동 되며 최저 보험료와 최대 보험료 인상이 정해집니다. 2023년 국민

inform.sosopost.com

2023년 건강보험료 하한액,상한액(지역가입자,직장가입자)
 

2023년 건강보험료 하한액,상한액(지역가입자,직장가입자)

2023년 건강보험료는 2022년 건강보험료요율과 비교하여 인상되었습니다. 건강보험료를 납부할 떈 건강보험공단에서 건하한액과 상한액 정하여 징수 합니다. 2023년 건강보험료 하한액,상한액 직

inform.sosopost.com

 

2023년 연봉실수령액(2400만원, 3000,4200,5000 월급 표)

새로운 해가 시작되면 바뀌는 것중 하나가 나의 연봉일텐데요. 연봉이 인상되면 인상된 만큼 나의 실수령액이 얼마가 될지 궁금해 집니다. 2023년 연봉실수령액을 2400만원, 3000만원, 4200만원, 5200

inform.sosopost.com

 

반응형